기업은 자산을 취득할 경우
첫 해에는 자산으로 회계 처리를 한 뒤,
그 후 감가상각 기간만큼 나눠 몇 년간 일정하게 비용으로 처리합니다.
보통 설비투자 금액 단위가 크기 때문에
기업의 이익에서 감가상각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죠.
이러한 감가상각비는 영업이익을 계산할 때 반영하기 때문에
크면 클수록 기업의 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.
이 말인즉슨, 기업의 이익을 감소시키는 감가상각비가 끝나는 날에는
기업의 이익이 그만큼 증가한다는 거 >_<

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
재무제표를 보고 감가상각이 종료되는 시점을 유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😀

✅ 재무제표를 통해 감가상각비 종료 시점 유추해 보기

2022년 엠씨넥스의 감가상각비 총액은 529억 원이며
기말에 남아있는 감가상각 대상 금액은 총 2,343억 원입니다.
2022년 신규로 감가상각 대상인 유형자산 취득 금액은 총 1,155억 원이고요.
이 기업의 감가상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'기계장치'.
앞으로 향후 몇 년간은 기계장치 추가 취득이 없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
그렇담 이 기업의 '기계장치' 감가상각비는 언제쯤 종료될까요?


3년.
계산 방법은 간단합니다.
'기계장치' 항목의 기말 유형자산 금액인 1,349억 원을
2022년 감가상각비인 446억 원으로 나눠 구하면 되죠.
- 1349 ÷ 446 = 3.02…
이런 식으로 본인이 관심 있는 종목들의 감가상각비 종료 시점을 유추해 보세요~

✅ 유형자산 감가상각 내용연수

기업의 유형자산 내용연수는 업종에 따라 살짝씩 다를 순 있으나
위의 표와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.

이제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^^
그럼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~~~👋🏻

감가상각방법 정액법과 정률법의 차이
기업은 기본적으로 자산을 가지고 있기에 매년 감가상각비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. 감가상각비가 영업이익에 비해 커버리면 적자가 나기 때문에 주식투자자라면 이 감가상각비가 영업이익에서
welcomestock.tistory.com
반도체 관련주 투자를 위한 종류와 뜻 알아보기 ✌(-‿-)✌
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연일 빠지고 있습니다. 주가 하락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게 되면서 재고 증가 영향으로 반도체 가격이 하락되고 있다는 전망에서 촉발되었는데요~ 현재
welcomestock.tistory.com
주식 재무제표 보는법)손익계산서-‘매출원가’와 ‘판관비’의 차이 제대로 알자 ∙̑◡∙̑
주식투자를 위한 재무제표 분석을 할 때엔 숫자 자체에 큰 의미를 두고 꼼꼼히 보기 보다는 서로 비교하면서 살펴봐야 합니다. 이 말인 즉슨 예를 들어 ①각 계정들끼리 비교하면서 보거나 ②전
welcomestock.tistory.com
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
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✩⡱
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◡‿◡ 구독 ◡‿◡
❤️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👍
(별도의 로그인 없이 가능합니다)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