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거래소에서
2010년 10월 이후 13년여 만에 호가 단위를 변경했습니다.
여기서 호가란
주식을 사고 팔 때 변동되는 가격 단위.
하여 이번 포스팅에서는
주식 거래시 호가 가격 단위가 이전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알아본 다음
이게 우리 주린이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😀
✅ 2023년 달라진 주식 호가단위
1) 코스피·코스닥·코넥스 간 호가 단위 통일
그동안 10만 이상 고가주의 호가가
코스피, 코스닥, 코넥스 시장이 서로 달랐는데요~
10만원∼20만원 미만은 100원
20만원∼50만원 미만은 500원
50만원 이상은 1,000원
이제는 투자자의 혼란을 줄이고자
시장 간 호가 가격 단위를 통일하기로 했다네요!
다만 상장지수펀드(ETF), 상장지수증권(ETN), 주식워런트증권(ELW) 상품의
호가가격단위는 현행대로 5원, 그대로 유지됩니다.
2) 호가 가격 단위 축소
호가 가격 단위의 비율(=호가가격단위/가격)이
우리나라는 0.1~0.5%인데 반해
미국 뉴욕증권거래소는 평균 0.09%, 일본은 0.01~0.05%에 불과합니다.
이는 우리나라의 주가 가격 대비 호가가 촘촘하지 못하다는 뜻이에요.
1,000원~2,000원 미만은 1원
1만원~2만원 미만 종목은 10원
10만원~20만원 미만 종목은 100원
그래서 이번 개편에서
일부 가격 구간의 호가 가격 단위가 줄어들게 되었습니다.
한편 호가 단위가 5배로 뛰는 구간이
과거 1만원, 10만원에서 2만원, 20만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.
✅ 주식 호가단위 변경 효과
이전에는 현재가 150,000원 종목을 당장 매수하기 위해서는
150,000만원이나 150,500원 등 500원 단위로 주문해야 했다면
현재는 150,000원 또는 150,100원으로 주문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그러니 어찌 보면 투자자 입장에서는 400원 이득인 셈입니다 ^~^
반대로 주식을 매도할 때도
149,500원이 아닌 149,900원에 가격을 써낼 수 있게 된거죠.
그런데 우리가 예시처럼 1주만 주문하는 게 절대 아니잖아요?
보통 100주, 1000주 단위로 주문한다 치면
이는 절대 적은 금액이 아니라는 걸 단번에 알 수 있죠.
이처럼 호가 가격 단위가 세분화로 인해
우리 주식투자자들은
원하는 지정가에 더욱 근접한 가격으로 주문할 수 있게 되었답니다.
🔎 끝으로 호가창 보는 법에 대해 간단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많은 주린이분들이 착각하시는 게
매수하는 잔량이 많아야 주가가 올라가는 줄 안다는 겁니다.
그런데 이 경우는
투자가가 '현재가보다 더 낮은 가격에서만 주식을 살 거야!'라는 심리가 반영된 겁니다.
즉, 매수자들이 현재가보다 주가가 더 떨어질 거라 예상하고
밑에서 기다리고 있겠다는 거죠 ㅡ,.ㅡㅋ
반면에 매도 잔량이 매수 잔량보다 더 많다는 건
'나는 현재가보다 더 높은 가격에서만 팔겠어!'라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
앞으로 더 주가가 오를 것이라 희망을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.
그리고 호가창에 특정 숫자가 반복해서 보인다면?
매집중일 수도 있다는 거~~~~
믿거나 말거나.
ㅎㅎㅎㅎㅎㅎㅎㅎㅎ
주식초보 꿀팁☞ 체결창에서 특정체결량 이상 소리나게 설정하는 방법(키움증권 HTS 영웅문)
지난 포스팅에선 호가창에서 특정체결량 이상 체결될 시 배경색상을 달리 설정하여 눈에 띄게 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. [● 경제 상식/키움증권 HTS 설정] - 주식초보 꿀팁☞ 체결창에서 특정체
welcomestock.tistory.com
주식초보 꿀팁☞ 체결창에서 특정체결량 이상 눈에 띄게 설정하는 방법(키움증권 HTS 영웅문)
이번엔 체결창에서 정말~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꿀팁인데요 ☺ 주식 매매 시에 호가창을 보다 보면 엄청난 체결 속도로 주식이 체결되시는 걸 보실 수 있는데요. 우리는 여기에서 큰 손들의
welcomestock.tistory.com
투자에 대한 지식이 많이 미흡한 자가 개인적인 생각을 적은 것이니
혹여나 잘못된 부분이나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코멘트로 친절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✩⡱
글의 내용이 마음에 드셨다면 구독◡‿◡ 구독 ◡‿◡
❤️공감 버튼을 눌러주시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보람입니다👍
(별도의 로그인없이 가능합니다)